맨위로가기

찰스 핑크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핑크니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식민지 찰스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농장주, 그리고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였다. 그는 대륙회의 대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미국 상원의원, 그리고 스페인 대사를 역임했다. 핑크니는 미국 헌법 제정 회의에 참여하여 도망 노예 조항과 종교 검정 조항 없음을 제안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주리 타협에 반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연방 상원의원 - 스트롬 서먼드
    스트롬 서먼드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와 미국 상원의원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으로, 인종차별 정책 옹호 논란에도 불구하고 후반기 흑인 사회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며 20세기 남부 정치 변화를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연방 상원의원 - 존 캘훈
    존 캘훈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의 미국 정치인이자 이론가로, 하원의원, 전쟁부 장관, 부통령, 상원의원을 역임하며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친노예제 진영을 이끌고 주권론을 주장하여 남북전쟁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으며, 동시 다수결 원칙과 소수자 권리 보호를 강조한 정치 철학으로 논쟁적인 인물로 남아있다.
  • 스페인 주재 미국 대사 - 워싱턴 어빙
    워싱턴 어빙은 19세기 초 미국의 작가, 수필가, 전기 작가, 역사가이자 외교관으로, 《스케치북》에 수록된 《립 밴 윙클》과 《슬리피 할로우의 전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와 허구를 결합한 낭만주의 역사 장르를 개척하고 미국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스페인 주재 미국 대사 - 존 제이
    존 제이는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로서 독립 전쟁 중 외교관, 초대 대법원장,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독립 선언과 헌법 제정에 참여, 파리 조약 체결에 기여, 연방주의자 논문 저술, 제이 조약 체결 등 미국 건국과 초기 법치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지사 - 토머스 핑크니
    토머스 핑크니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및 하원 의원 역임, 핑크니 조약 체결 등 외교적 공헌, 미국 헌법 비준 지지, 1812년 미영 전쟁 참전 등 다양한 활동을 한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외교관이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지사 - 스트롬 서먼드
    스트롬 서먼드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와 미국 상원의원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으로, 인종차별 정책 옹호 논란에도 불구하고 후반기 흑인 사회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며 20세기 남부 정치 변화를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찰스 핑크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길버트 스튜어트의 초상화
이름찰스 핑크니
출생일1757년 10월 26일
출생지영국령 아메리카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타운
사망일1824년 10월 29일
사망지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안장지찰스턴의 세인트 필립 성공회 교회 묘지
배우자메리 엘리너 로렌스
부모찰스 핑크니 대령 (아버지), 프랜시스 브루턴 (어머니)
자녀3명
거주지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마운트플레전트 "스니 농장",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직업변호사, 정치가
공직 경력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37대
주지사 임기 (1)1789년 1월 27일 – 1792년 12월 5일
주지사 임기 (1) 부지사알렉산더 질론, 아이작 홈스
주지사 이전토마스 핑크니
주지사 이후윌리엄 몰트리
주지사 임기 (2)1796년 12월 1일 – 1798년 12월 6일
주지사 임기 (2) 부지사로버트 앤더슨
주지사 이전아놀더스 밴더호스트
주지사 이후에드워드 러틀리지
주지사 임기 (3)1806년 12월 1일 – 1808년 12월 10일
주지사 임기 (3) 부지사존 홉킨스
주지사 이전폴 해밀턴
주지사 이후존 드레이턴
미국 하원 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
하원 의원 임기1819년 3월 4일 – 1821년 3월 3일
하원 의원 이전헨리 미들턴
하원 의원 이후조엘 로버츠 포인세트
주 스페인 미국 공사역대 5대
대사 임기1801년 6월 6일 – 1804년 10월 25일
대통령토머스 제퍼슨
대사 이전데이비드 험프리스
대사 이후제임스 보도인 3세
미국 상원 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상원 의원 임기1798년 12월 6일 – 1801년 6월 6일
상원 의원 이전존 헌터
상원 의원 이후토머스 섬터
연합 회의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역대
연합 회의 대의원 임기1784년 11월 1일 – 1787년 10월 30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 의장초대
상원 의장 임기1779년 8월 31일 – 1782년 1월 8일
상원 의장 이전직책 신설
상원 의장 이후존 로이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 의원세인트 필립 및 세인트 마이클 교구
상원 의원 임기1779년 8월 31일 – 1782년 1월 8일
사우스캐롤라이나 하원 의원세인트 필립 및 세인트 마이클 교구
하원 의원 임기 (1)1810년 11월 26일 – 1814년 11월 28일
사우스캐롤라이나 하원 의원그리스도 교회 교구
하원 의원 임기 (2)1806년 11월 24일 – 1806년 12월 9일
하원 의원 임기 (3)1792년 11월 26일 – 1796년 12월 8일
하원 의원 임기 (4)1787년 1월 1일 – 1789년 1월 21일
소속 정당
정당연방당, 민주공화당

2. 어린 시절

찰스 핑크니의 문장


찰스 핑크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 태어나 교육받았다. 그의 아버지 찰스 핑크니 대령은 부유한 변호사이자 농장주였다. 1782년 찰스 핑크니 대령이 사망하면서 핑크니는 찰스턴 교외의 스니 농장을 상속받았다. 1779년부터 핑크니는 찰스턴에서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1]

핑크니는 대륙 회의 대의원 (1777년~1778년, 1784년~1787년)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회 의원 (1779년~1780년, 1786년~1789년, 1792년~1796년)을 역임했다. 민족주의자였던 핑크니는 대륙 회의에서 미국이 미시시피강 항해권을 얻고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데 힘썼다.[1]

2. 1. 미국 독립 전쟁 참전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핑크니의 아버지는 혁명에 대해 주저했지만, 핑크니는 민병대에 참여했다. 1779년 핑크니는 소위로 임관되어 9월부터 10월까지 사바나 공성전에 참전했다.[1] 이듬해 영국군에 의해 찰스턴이 함락되면서 핑크니는 포로로 잡혀 1781년 6월까지 억류되었다.[1]

3. 정치 경력

미국 독립 전쟁 당시 핑크니는 민병대에 입대하여 중위로 사바나 포위전에 참전했다. 1780년 찰스턴이 영국군에 함락되자 포로로 잡혀 1781년 6월까지 수감되었다가 1783년에 찰스턴으로 돌아왔다.[1]

전쟁 후, 핑크니는 1784년부터 1787년까지 대륙회의 대의원을 지냈고, 1779년~1780년, 1786년~1789년, 1792년~1796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그는 국수주의적 관점에서 미국의 미시시피 강 항행권 확보와 의회 권한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1]

1788년, 핑크니는 부유한 상인 헨리 로렌스의 딸 메리 엘레노어 로렌스와 결혼하여 최소 3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아들 헨리 로렌스 핑크니는 훗날 미국 연방 의원이자 찰스턴 시장이 되었다.[1]

핑크니는 1789년부터 1792년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를 역임하며 1790년 주 헌법 제정 회의 의장을 맡았다. 초기에는 연방당 소속이었으나, 점차 민주공화당으로 기울어 1795년에는 연방당이 지지하는 제이 조약을 비판했다. 1796년 다시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1798년에는 민주공화당의 지지로 미국 상원 의원이 되었다. 상원에서는 이전 소속 정당이었던 연방당을 강하게 비판했고, 18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토머스 제퍼슨의 선거 운동을 지휘했다.[12]

1801년부터 1805년까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에 의해 스페인 대사로 임명된 핑크니는 스페인으로부터 플로리다 할양을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 당시 스페인의 묵인을 얻어내는 데 기여했다.[12]

외교관 임무를 마친 후, 핑크니는 찰스턴으로 돌아와 주 민주공화당을 이끌었다. 1805년부터 1806년까지 주 의회 의원을 지냈고, 1806년부터 1808년까지 다시 주지사로 재임하며 백인 남성의 보통 선거권과 오지 지역의 대표성 개선을 위한 의회 의석 재분배를 주장했다. 1810년부터 1814년까지 다시 주 의회 의원을 지낸 후 잠시 정계에서 은퇴했다가, 18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미주리 타협에 반대했다.[12]

3. 1. 미국 헌법 제정 회의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 헌법 제정 회의에서 핑크니의 역할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핑크니는 가장 젊은 대의원이었으며,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으며, 헌법의 기초가 된 핑크니 플랜이라는 초안을 제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에드먼드 랜돌프가 제출한 ‘버지니아 안’을 받았지만, 다른 대의원들로부터 외면을 당했다. 역사학자들은 그를 중요한 기여를 한 대표단으로 평가를 하고 있다.[14] 그러나 이러한 역사가도 핑크니는 지도층에 들어가 있던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핑크니는 24세에 불과하다고 자랑했지만, 실제로는 30세였다.[15] 회의에는 전체 기간 참석을 했으며, 종종 발언을 통해 효과를 거두고 최종 원고 작성에 크게 기여했으며, 토론 중에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고, 지도했다. 1788년에 사우스캐롤라이나 헌법을 비준할 때도 작업을 했다.

헌법 제정 회의에서의 핑크니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가장 젊은 대의원 중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나중에 자신이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으며, 최종 헌법의 기초가 된 핑크니 계획(Pinckney Plan)이라는 초안을 제출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제임스 매디슨과 다른 몇몇 제정자들에 의해 강하게 반박되었다.[2]

회의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인 피어스 버틀러와 핑크니는 도망 노예 조항(제4조, 제2항, 제3절)을 제안했다. 펜실베이니아 출신의 제임스 윌슨은 이 조항이 노예 소유주에게 특별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며, 모든 주 정부가 납세자의 비용으로, 노예를 소유하지 않는 사람이나 대부분의 주민이 노예를 소유하지 않는 곳에서도 이를 시행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라고 반대했다. 버틀러는 이 조항을 철회했지만, 다음 날 남부 출신의 대의원이 이를 다시 제기했고, 회의는 추가적인 반대 없이 이를 채택했다. 이 조항은 사법 당국의 도피자에 대한 인도를 규정하는 조항에 추가되었다.[5]

No Person held to Service or Labour in one State, under the Laws thereof, escaping into another, shall, in Consequence of any Law or Regulation therein, be discharged from such Service or Labour, but shall be delivered up on Claim of the Party to whom such Service or Labour may be due.|어떤 주의 법률에 따라 그 주에서 노역이나 봉사에 종사하던 사람이 다른 주로 도망쳤을 경우, 그 주의 어떤 법률이나 규정 때문에 그러한 노역이나 봉사로부터 면제되어서는 안 되며, 그러한 노역이나 봉사를 제공해야 할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인도되어야 한다.영어

이 조항은 처음에는 도망 노예에게 적용되었으며, 노예 소유주의 청구에 따라 그들이 인도되어야 함을 규정했다. 이 조항에도 불구하고, 자유주는 때때로 이를 시행하는 것을 거부했다. 1850년 도망 노예법은 주에 대한 요구 사항과 노예 재포획을 돕지 않은 데 대한 처벌을 강화했다. 이러한 관행은 제13차 수정 조항이 노예 제도를 폐지할 때까지 없어지지 않았다. 1864년 남북 전쟁 중에 헌법의 이 조항을 폐지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6]

핑크니는 헌법에 국가 종교를 반대하는 조항을 도입했다. 그의 종교 검정 조항 없음은 다음과 같다.

no religious Test shall ever be required as a Qualification to any Office or public Trust under the United States.|미합중국에 따른 어떤 공직이나 공적 신탁에 대한 자격으로 종교 검정이 요구되어서는 안 된다.영어

이 문구가 투표에 포함되자 거의 반대 없이 통과되었다. 최초로 국가 정부의 공무원이 종교를 가질 필요가 없게 되었다.[7][8] 핑크니는 또한 체포 영장을 헌법에 포함시킨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9][10] 처음에는 "반란이나 침략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체포 영장의 특권이 정지되어서는 안 된다"로 제안되었지만,[11] 현재는 미국 헌법 제1조의 일부이다.

3. 2. 도망 노예 조항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피어스 버틀러와 찰스 핑크니는 도망 노예 조항(제4조 제2항 제3절)을 제안했다.[5] 펜실베이니아 출신 제임스 윌슨은 이 조항이 노예 소유주에게 특별한 보호를 제공하며, 모든 주 정부가 납세자의 비용으로 노예를 소유하지 않거나 주민 대다수가 노예를 소유하지 않는 곳에서도 이를 시행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라고 반대했다. 버틀러는 이 조항을 철회했지만, 다음 날 남부 출신 대의원이 다시 제기했고, 회의는 추가 반대 없이 채택했다. 이 조항은 사법 당국의 도피자 인도 조항에 추가되었다.[5]

Any Person held to Service or Labour in one State, under the Laws thereof, escaping into another, shall not, in Consequence of any Law or Regulation therein, be discharged from such Service or Labour, but shall be delivered up on Claim of the Party to whom such Service or Labour may be due.|어떤 주의 법률에 따라 그 주에서 노역이나 봉사에 종사하던 사람이 다른 주로 도망쳤을 경우, 그 주의 어떤 법률이나 규정 때문에 그러한 노역이나 봉사로부터 면제되어서는 안 되며, 그러한 노역이나 봉사를 제공해야 할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인도되어야 한다.영어

이 조항은 처음에는 도망 노예에게 적용되었으며, 노예 소유주의 청구에 따라 그들이 인도되어야 함을 규정했다. 이 조항에도 불구하고, 자유주는 때때로 시행을 거부했다. 1850년 도망 노예법은 주에 대한 요구 사항과 노예 재포획을 돕지 않은 데 대한 처벌을 강화했다. 이러한 관행은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가 노예 제도를 폐지할 때까지 없어지지 않았다. 1864년 남북 전쟁 중 이 조항을 폐지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6]

3. 3.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와 상원의원

핑크니는 1789년부터 1792년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를 역임했고, 1790년에는 주 헌법 제정 회의 의장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연방당과 관계를 맺었고, 사촌인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와 함께 당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견해는 변하기 시작했다. 1795년 그는 연방당이 지지한 제이 조약을 공격했다. 그는 점차 동부 엘리트 계층에 맞서 캐롤라이나 서부 지역의 민주공화당 지지자들과 뜻을 같이하기 시작했다. 1796년 핑크니는 다시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1798년에는 민주공화당의 지지로 미국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12]

핑크니는 상원에서 이전 소속 정당이었던 연방당을 격렬하게 공격했고, 18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토머스 제퍼슨의 선거 운동 관리자 역할을 했다.[12]

3. 4. 스페인 대사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1801년부터 1805년까지 핑크니를 스페인 대사로 임명했다.[12] 핑크니는 스페인 대사 재임 중 스페인으로부터 플로리다 매입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12] 하지만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루이지애나가 이전되는 데 스페인이 묵인하도록 하는데 기여했다.[12] (스페인은 이미 나폴레옹 치하에서 이 지역의 지배권을 프랑스에 반환한 상태였다.)

3. 5. 민주공화당 지도자

핑크니는 18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토머스 제퍼슨의 선거 운동 관리자 역할을 했다.[12] 제퍼슨은 대통령 당선 후 핑크니를 스페인 대사(1801~1805년)로 임명했다.[12] 핑크니는 미국에 스페인령 플로리다를 할양받으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다.[12]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루이지애나가 이전되는 데 스페인의 묵인을 얻어냈다.[12]

스페인에서 찰스턴으로 돌아온 핑크니는 주 민주공화당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12] 1805~1806년 주 의회에서 활동했고, 1806~1808년 다시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2] 주지사 재임 기간 동안 서부 지역 구역에 더 공정한 대표성을 부여하기 위해 입법부의 의석 재분배를 지지했으며, 보편적인 백인 남성 참정권을 주장했다.[12] 1810년부터 1814년까지 다시 주 의회에서 활동하다가 정치에서 일시적으로 물러났다.[12] 1818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미주리 타협에 반대했다.[12] 그는 자신의 농장에서 노예 노동에 의존하여 부를 축적한 대규모 노예 소유주였기 때문에 새로운 영토와 주에 노예 제도의 확장을 지지했다.[12]

3. 6. 미주리 타협 반대

1818년, 핑크니는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미주리 타협에 반대했다. 그는 자신의 농장에서 노예 노동에 의존하여 부를 축적한 대규모 노예 소유주였으며, 새로운 영토와 주에 노예 제도의 확장을 지지했다.[12]

4. 결혼과 가족

핑크니는 1788년 4월 27일 찰스턴의 세인트 필립 교회에서 메리 엘리너 로렌스와 결혼했다. 메리는 부유하고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노예 무역상인 헨리 로렌스(Henry Laurens)의 딸이었다. 핑크니 부부에게는 적어도 세 명의 자녀가 있었다.

그의 처가 식구들로는 장인 헨리 로렌스, 존 로렌스 대령, 그리고 미 하원의원 데이비드 램지가 있었다. 그의 처남 중 한 명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존 러트리지의 딸과 결혼했다.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헨리 로렌스 핑크니는 미국 연방 의원과 찰스턴 시장을 역임했다. 그의 의붓아들 로버트 영 헤인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 의원, 주지사 및 찰스턴 시장을 역임했다.

5. 유산

핑크니의 스니 농장은 찰스 핑크니 국립사적지(Charles Pinckney National Historic Site)로 보존되고 있다.[1] 마운트 플레전트에 있는 찰스 핑크니 초등학교(Charles Pinckney Elementary School)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그의 아들 헨리 L. 핑크니(Henry L. Pinckney)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의 미국 하원의원이자 찰스턴 시장을 역임했다.[1] 그의 딸은 로버트 영 헤인(Robert Young Hayne)과 결혼했는데, 그는 미국 하원의원, 찰스턴 시장,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를 역임했다.[1] 핑크니는 프리메이슨이었으며 찰스턴의 솔로몬 로지 1호(Solomon's Lodge No. 1) 회원이었다.[1]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789년 선거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37대연방주의당100.00%26,520표1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당선
1796년 선거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37대민주공화당62.14%87표1위
1798년 선거상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제2부)6대민주공화당55.63%79표1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상원의원 당선
1806년 선거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37대민주공화당52.52%73표1위
1818년 선거하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16대민주공화당48.99%1,164표1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하원의원 당선


참조

[1] 간행물 Charles Pinckney National Historic Site: Cultural Landscape Report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Interior
[2] 웹사이트 Farrand's Records of the Federal Convention http://oll.libertyfu[...]
[3] 서적 E Pluribus Unum: The Form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1776–1790 Houghton Mifflin Company
[4] 데이터베이스 U.S. and International Marriage Records, 1560–1900 The Generations Network, Inc.
[5] 서적 Slavery and the Founders: Race and Liberty in the Age of Jefferson
[6] 웹사이트 Congressional Globe http://memory.loc.go[...]
[7] 웹사이트 A Framework for Civic Education https://web.archive.[...]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Citizenship and the Center for Civic Education
[8] 학술지 The Individual Liberties within the Body of the Constitution: A Symposium: The No Religious Test Clause and the Constitution of Religious Liberty: A Machine That Has Gone of Itself. http://www.historyan[...]
[9] 서적 A Constitutional History of Habeas Corpus University of Michigan
[10] 서적 The Contribution of Charles Pinckney to the Formation of the American Union
[11] 서적 The Privilege of the Writ of Habeas Corpus Under the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12] 서적 Dictionary of British Sculptors 1660-1851
[13] 뉴스 A controversial election theory at the Supreme Court is tied to a disputed document https://www.npr.org/[...] NPR 2022-11-03
[14] 서적 E Pluribus Anum: The Form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1776–1790 Houghton Mifflin Company
[15] 데이터베이스 U.S. and International Marriage Records, 1560–1900 The Generations Network,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